KBS 수신료 인상
【2013년 12월 11일】
정치
관련 뉴스
- 2023년 9월 23일 (토): 일본은 한국에 더 가깝게, 북한은 가장 뒤로... 윤석열의 외교 기조
- 2023년 9월 23일 (토):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 원장, "민주당의 운명을 검찰로 넘긴 의원 일부는 바보천치이고 나쁜 사람들"
- 2023년 5월 31일 (수): 새벽녘에 서울시민에게 떨어진 재난문자, 경기도민에게는 안 온 재난문자, 지역차별 및 공포감 조성 논란
- 2023년 5월 13일 (토): 윤석열 대통령의 1년 동안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 2023년 4월 28일 (금): 김태효 "사실상 핵 공유" 주장, 미 백악관 "사실상 핵공유 아니다" 반박

한국방송공사 (이하 KBS)가 수신료 인상을 의결했다.
KBS는 지난 12월 10일 774차 이사회를 열고 월 2,500원인 TV 수신료를 4,000원으로 인상하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료 금액 조정안'을 의결했다. 이사회는 이번 수신료 인상에 대해 “공영방송의 중심재원이어야 할 수신료가 보조재원으로 전락한 왜곡된 재원구조를 해소하고 KBS가 공영방송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다하려면 수신료를 조정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한국방송협회는 이번 인상안에 대해 30여 년 간 동결된 수신료때문에 공영방송의 재원구조가 왜곡돼 공익적 기능과 책무를 유지하는데 한계라고 밝히며 환영하는 입장이다.
야당에서는 날치기라며 반발하고 있다. 민주당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들은 지난 10일 저녁 성명서를 내고 “공정성 보장 없이 수신료 인상은 안된다”고 강조하면서,“공정방송의 회복, 공영방송으로서의 최소한의 역할 이행, 공영방송 지배구조의 개선 없이 수신료를 인상하자는 것은국민의 대대적 저항과 분노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수신료 조정안은 방송통신위원회에 제출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60일 이내에 수신료 금액에 대한 의견서와 수신료 승인 신청 관련 서류를 첨부해 국회에 제출하게 되고 국회의 의결을 거쳐 승인을 얻은 후 수신료 인상이 확정된다.
출처
- 온라인뉴스팀. “KBS 수신료 인상, 월 4,000원 “공영성 회복 위해 불가피” (한국어)”, 《SSTV》, 2013년 12월 11일 작성. 2013년 12월 11일 확인
- 김현아. “KBS 수신료 인상 엇갈린 반응..야당 반발, 방송협회 촉구 (한국어)”, 《이데일리》, 2013년 12월 11일 작성. 2013년 12월 11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