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국정원 직원에게 합병 정보 받았다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사회에 대해 더 알아보기:
【2017년 3월 23일】
사회
관련 뉴스
- 2022년 7월 12일 (화): 남의 집 화장실에서 샤워한 일가족 입건
- 2022년 7월 6일 (수): 종업원 사망 유흥주점 술자리 동석자男 운전사고로 사망… "마약 의심"
- 2022년 7월 5일 (화): 안동 40대 男공무원이 흉기로 동료 살해
- 2022년 7월 5일 (화): 고양시 '러브버그' 긴급 방역 나서
- 2022년 7월 5일 (화): 아동·청소년 상착취물 사이트 운영자 손정우 1심 징역 2년 선고

《한겨레21》은, 국가정보원 직원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의 키를 쥔 국민연금공단 의결권 행사와 관련한 내부 정보를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에 전달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하였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은 이재용 부회장의 계열사 지배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사안으로, 2014년 5월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이건희 회장에서 이재용 부회장으로 경영권이 승계되는 중요한 과정 중 하나로 보인다.[1] 국민연금은 이 합병안 통과를 좌우할 수 있는 삼성물산의 최대 단일 주주(2015년 5월 기준 9.54%)였다. 국정원 직원이 삼성에게 국민연금의 이결권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한 것은 '국가정보원법' 위반 소지가 크다.
《한겨레21》의 보도에 따르면, 이에 대한 취재에 대해 국정원은 해당 정보관은 국민연금공단 내부 정보를 알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았고, 전달하지도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삼성은 해당 임원이 퇴사하고 미래전략실도 해체된 상황에서 공식적인 답변을 하기엔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출처
- 한재영 기자(jyhan@yna.co.kr). “제일모직-삼성물산 전격 합병 이유는(종합) (한국어)”, 《연합인포맥스》, 2015.05.26.15:08:37 작성. 2017.3.23. 확인
- 황예랑(yrcomm@hani.co.kr), 정환봉(bonge@hani.co.kr), 김선식(kss@hani.co.kr). “삼성, 국정원 직원 통해 합병 정보 받았다 (한국어)”, 《한겨레21》, 2017.03.20.22:09 작성. 2017.3.23. 확인
- 정현정(iam@zdnet.co.kr). “이재용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승계와 무관" (한국어)”, 《메가뉴스 & ZDNet & CNET.》, 2016.12.06.11:02 작성. 2017.3.23. 확인
![]() | 이 기사는 과거의 기사로 보존되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이 기사를 편집하지 마세요.
위키뉴스의 모든 기사는 해당 기사가 작성되고 발행된 특정 시점만을 반영하며, 발행 이후에 발생하거나 알려진 사건 또는 소식을 아우르지 않습니다.
위키뉴스에서는 기사 보존 정책에 따라, 보존된 기사의 내용을 바꾸거나 갱신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부 사소한 문법적 오류나 기사 구성의 수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 2016년,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국회 국정조사 특위의 1차 청문회에서 이재용 부회장은 증인으로 참석해 "국민들이 알뜰살뜰 모은 국민연금을 본인의 승계에 이용하고 있다"는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양사의 합병은 경영권 승계와는 관계가 없다"고 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