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환경부, 남조류 독소물질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
보이기
【2012년 9월 16일】
환경
관련 뉴스
- 2025년 2월 17일 (월): 백두산과 인접한 중국 훈춘에서 지진 발생
- 2025년 2월 17일 (월): 수도권·충청권에 고농도 미세먼지
- 2025년 2월 17일 (월): 일본 신모에다케 화산 폭발
- 2025년 2월 17일 (월): 보령호 담수화를 두고 갈등하는 안희정과 정부
- 2025년 2월 17일 (월): 신모에다케 화산 폭발 임박…일본 정부 피난권고

대한민국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이하 ‘과학원’)은 남조류(藍藻類) 독소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LR)을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최근 기후변화로 이상 고온, 강수량 감소, 일조량 증가 현상이 빈번해지고 상수원에 남조류 대량 증식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남조류에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독성물질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추진되었다고 밝혔다. 환경부와 과학원은 마이크로시스틴의 4가지 검출형태 중 상대적으로 독성이 강한 마이크로스틴-LR(Microcystin-LR)을 감시항목으로 지정하고,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기준과 동일한 수준을 적용해 기준치를 1㎍/L 이하로 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행은 자치단체, 수자원공사, 자치단체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오는 10월 중으로 감시항목으로 지정하고 2013년 1월부터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출처
- 대한민국 환경부. “환경부, 남조류 독소물질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관리”, 《뉴스와이어》, 2012년 09월 16일 작성. 2012년 09월 16일 확인
![]() | 이 기사는 과거의 기사로 보존되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이 기사를 편집하지 마세요.
위키뉴스의 모든 기사는 해당 기사가 작성되고 발행된 특정 시점만을 반영하며, 발행 이후에 발생하거나 알려진 사건 또는 소식을 아우르지 않습니다.
위키뉴스에서는 기사 보존 정책에 따라, 보존된 기사의 내용을 바꾸거나 갱신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부 사소한 문법적 오류나 기사 구성의 수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