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곳곳에서 '럼피스킨병' 발병... 한우 농장까지 침투
보이기
【2023년 10월 21일】
사회
관련 뉴스
- 2025년 2월 17일 (월): 대한민국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청년특별위원에 박칼린 임명
- 2025년 2월 17일 (월): 경기도 민원전철,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 2025년 2월 17일 (월): 하이패스 차량만 통과 가능한 무인 요금소, 위험천만
- 2025년 2월 17일 (월): 철도노조, 파업 철회
- 2025년 2월 17일 (월): 나주서 트럭 3중 추돌해 1명 숨지고 4명은 부상

질병
관련 뉴스
- 2025년 2월 17일 (월): 축산과학원 근처까지 AI 발생…종란 이동 및 긴급 부화 착수
- 2025년 2월 17일 (월): 구제역 도살 규모 300만 마리 돌파
- 2025년 2월 17일 (월): 대한민국 질병관리본부, 가을철 발열성 감염 질환 주의 당부
- 2025년 2월 17일 (월): 경주서 'AI' 첫 발병
- 2025년 2월 17일 (월): 코로나바이러스가 소강되자 이번엔 유럽에서 원숭이두창이 범세계적으로 유행하다

2023년 10월 20일, 한우 농장에서 럼피스킨병 발병 사례가 보고되었다. 이는 2023년 소 관련 질병 첫 발병 사례다. 럼피스킨병은 한우 농장에서 첫 보고되었다.[1][2][3] 럼피스킨병은 소의 몸에 혹 같은 것이 생기는 질병이다. 모기 등의 흡혈성 곤충에 의해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나, 소에게만 감염된다. 하지만 전염성이 몹시 강해 구제역과 함께 1종 바이러스에 분류되어 있다.[4]
약 20시간 후 10월 21일에는 평택에서도 럼피스킨병이 발병했다는 보고가 들어왔다.[5][6]
관련 기사
[편집]출처
[편집]- “”
- ↑ “한우농장서 '럼피스킨병' 국내 첫 발생 (ko)”, 《매경헬스》, 2023년 10월 20일 작성. 2023년 10월 21일 확인
- ↑ “충남 서산 한우농가서 럼피스킨병 국내 첫 발생..전국 스탠드스틸 (ko)”. 2023년 10월 21일 확인
- ↑ “서산 한우농장서 럼피스킨병 국내 첫 발생…이동중지 명령 (ko)”, 《동아일보》, 2023년 10월 20일 작성. 2023년 10월 21일 확인
- ↑ “'국내 첫 발병' 럼피스킨병 뭐길래…서산 한우농가 '발칵' (ko)”, 《머니투데이》, 2023년 10월 20일 작성. 2023년 10월 21일 확인
- ↑ “[속보 평택에서도 소 럼피스킨병 확진...전국 곳곳 의심 신고] (ko)”, 《YTN》, 2023년 10월 21일 작성. 2023년 10월 21일 확인
- ↑ “[속보 평택 젖소 농장서도 ‘소 럼피스킨병’ 확진… 국내 두 번째 발생] (ko)”, 《서울경제》, 2023년 10월 21일 작성. 2023년 10월 21일 확인